재산세 납부방법 자동이체에서 카드 납부로 변경하는 방법

생똑네 2025. 9. 15.

💳 재산세 자동이체에서 카드 납부로 변경하는 방법

재산세를 기존 은행 계좌 자동이체가 아닌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로 납부하려는 경우, 별도의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보통 자동이체는 은행 계좌를 통해 이뤄지지만, 카드 납부를 원한다면 변경 과정을 진행해야 합니다.

🔹 위택스(Wetax)를 통한 카드 자동이체 변경

  • 대부분 지역은 위택스(Wetax)에서 가능, 서울은 이택스(ETAX) 사용
  • 기존 자동이체 해지 : 위택스 접속 → ‘자동납부 신청/변경’ 메뉴 → 기존 자동이체 해지
  • 카드 자동이체 재신청 : 해지 후 신용카드/체크카드 정보 입력 → 자동이체 재등록
  • 적용 시점 확인 : 신청 후 즉시 반영되지 않고 보통 다음 달부터 적용
  • 세액 공제 : 전자고지와 병행 신청 시 세액 공제 가능 → 지자체 세무 부서 확인 권장

🔹 은행 방문을 통한 변경

  • 은행 방문 : 신분증, 통장, 인감(또는 서명) 지참 후 거래 은행 창구 방문
  • 신청서 작성 : 자동이체 해지 및 카드 자동납부 신청서 작성
  • 신청 완료 확인 : 신청 후 은행을 통해 변경 완료 여부 반드시 확인

⚠️ 유의사항

  • 납부 기한 : 해지와 재신청 사이에 기한이 오면 가산세 발생 → 반드시 미리 진행
  • 카드 혜택 : 일부 카드사는 지방세 납부 시 무이자 할부, 포인트 적립 제공 → 카드사 홈페이지/고객센터 확인
  • 수수료 : 대부분 없음, 단 은행 ATM 타행카드 이용 시 수수료 부과 가능
  • 취소 불가 : 카드로 낸 세금은 환불이 불가하므로 납부 전 금액과 세목 확인 필수

ℹ️ 추가 정보

  • 스마트 위택스 앱 : 스마트폰으로 지방세 간편 납부 가능
  • 전자고지 신청 : 종이 대신 전자고지 선택 시 세액 공제 혜택 (지역별 상이)
  • ARS 납부 : 1899-3888 등 ARS를 통한 카드 납부 가능 (일부 카드만 지원)

👉 은행 계좌 자동이체에서 카드 자동납부로 변경하는 절차는 복잡하지 않지만, 납부 기한과 카드 혜택, 수수료 여부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잘 챙기면 재산세를 훨씬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댓글


TOP